본문 바로가기
여행

버킷리스트 1순위, 이스터 섬의 모아이를 만나다 – 섬의 침묵 속에서 울려 퍼진 감정

by bike89 2025. 7. 6.
반응형

이스터 섬의 모아이를 만나다

태평양 한가운데 고립된 땅, 거대한 석상 앞에서 나는 인간의 흔적을 마주했다

'이스터 섬'이라는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뛰었습니다.
태평양의 작은 점 하나 같은 이 섬에
사람보다 큰 석상, 모아이(Moai)가 800개 넘게 서 있다는 사실은
어릴 적부터 상상 속에 자리한 신비 그 자체였죠.
그래서 이스터 섬은 내 오랜 버킷리스트 1순위였습니다.

막상 도착해 보니,
모아이보다 더 인상 깊은 건
그 섬이 가진 침묵과 고요의 결이었다는 걸
금세 알게 되었습니다.

이스터 섬, 그 신비한 고립의 시작

칠레 본토에서 5시간 넘게 비행해야 닿는
태평양 외딴섬, 라파누이(Rapa Nui).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유인섬’이라 불리는 이곳에선
인터넷도 느리고, 시계보다 하늘빛을 보는 게 더 정확했습니다.

섬에 도착한 첫날 밤,
별이 하늘에 쏟아져 내리는 듯했고
모든 것은 고요했지만
그 속에서 오히려 생명력이 진하게 느껴졌습니다.

아후 통가리키, 해 뜨는 모아이들의 줄지어 선 기도

가장 유명한 모아이 군집은
아후 통가리키(Ahu Tongariki)입니다.
15개의 모아이 석상이 동쪽을 바라본 채
일렬로 서 있습니다.

그들의 시선 앞에서
아침 해가 떠오를 때
나는 말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수백 년 전 사람들이 왜, 어떻게,
이토록 거대한 석상을 만들었는지는 미스터리지만
그곳에 서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인간의 의지와 믿음이 전해졌습니다.

라노 라라쿠, 모아이들의 탄생지에서 본 멈춘 시간

라노 라라쿠(Rano Raraku)는
모아이를 만든 화산석 채석장입니다.

산등성이와 초원에는
제작 도중 멈춰 선 모아이들이
고개를 반쯤 파묻은 채 남아 있었어요.
마치 무언가를 기다리는 듯,
혹은 이미 그 자리에 만족한 듯한 모습으로.

그건 단순한 조각상이 아니라
과거에 멈춰 선 ‘시간’ 자체였습니다.

모아이 앞에서 묻게 되는 질문들

“누가 만들었을까?”
“왜 만들었을까?”
“그들이 떠난 이유는?”

이스터 섬은 답보다 질문을 주는 곳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질문들은
오히려 나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들이었죠.

“나는 지금 무엇을 만들며 살고 있을까?”
“무엇을 남기고 싶을까?”

모아이를 마주한 나는
그 석상이 아니라,
내 안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있었습니다.

시간이 멈춘 듯, 그러나 감정은 선명한 섬

섬엔 카페도, 시장도 있지만
그것조차도 정해진 흐름 없이 움직였습니다.
길을 걷다 보면 말이 나타나고,
모아이 뒤로 바람이 지나가고,
아이들이 파도 소리 속에서 웃습니다.

그 안에서는
모든 것이 멈춘 것 같은데
정작 나의 감정은 더 또렷해지는 역설을 경험했어요.

돌아가는 길, 섬이 남긴 감정은 ‘존재의 무게’였다

이곳은 화려하지 않고,
편리하지도 않지만
그만큼 묵직한 감정을 남기는 곳이었습니다.

모아이는 말이 없었지만
그 침묵은 내 안에서 오래 울렸고,
바람은 대답 대신 시간을 흘려보냈습니다.

버킷리스트가 하나 지워졌지만
마음속에는 오히려
또 하나의 깊은 질문이 새겨졌습니다.

“내가 진짜 남기고 싶은 건 무엇인가요?”

 

반응형